국가유산 1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입니다.
주메뉴입니다.
Close
광주국가유산야행
국가유산야행
행사개요
행사일정
발자취
찾아오시는 길
주요소식
공지사항
야행사진관
자주묻는질문
불편사항
프로그램안내
광주8야(夜)
야경(夜景)
길을 비추는 국가유산
야로(夜路)
밤길 걸으며 만나는 국가유산
야사(夜史)
경험하는 역사이야기
야화(夜畵)
그림과 이야기로 그리는 밤
야설(夜說)
안부를 전하는 공연과 공간
야식(夜食)
로컬디저트
야시(夜市)
테마마켓
야숙(夜宿)
머무는 국가유산
장소별 프로그램
사전모집
프로그램 신청
프로그램
프로그램 사전접수
프로그램 접수결과
종료프로그램
나의 신청현황
광주동구국가유산
국가유산
문화시설
동인(東人)
온라인야행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KO
EN
광주국가유산야행
국가유산야행
행사개요
행사일정
발자취
찾아오시는 길
주요소식
공지사항
야행사진관
자주묻는질문
불편사항
프로그램안내
광주8야(夜)
야경(夜景)
길을 비추는 국가유산
야로(夜路)
밤길 걸으며 만나는 국가유산
야사(夜史)
경험하는 역사이야기
야화(夜畵)
그림과 이야기로 그리는 밤
야설(夜說)
안부를 전하는 공연과 공간
야식(夜食)
로컬디저트
야시(夜市)
테마마켓
야숙(夜宿)
머무는 국가유산
장소별 프로그램
사전모집
프로그램 신청
프로그램
프로그램 사전접수
프로그램 접수결과
종료프로그램
나의 신청현황
광주동구국가유산
국가유산
문화시설
동인(東人)
온라인야행
돌의義 시간
The stone over the history
무등산엔 큰 돌 하나가 있다
그 돌은 광주의 시간 안에서 짓고, 다듬고,
쌓여지며 새로운 꿈을 열고 광주의 시간을 이어냈다.
광주의 모든 시간을 바라 본, 큰 돌 하나가 있다.
4
.
25.
Fri
26.
Sat
17:00~22:00
5·18민주광장, 서석초등학교, 광주읍성유허, 빛의 읍성 일원
국가유산
문화시설
동인(東人)
온라인야행
광주동구국가유산
광주동구국가유산
광주동구국가유산
국가유산
문화시설
동인(東人)
온라인야행
27
광주광역시 지정문화유산
전남도청 회의실
5·18 최후의 항쟁지. 일제시대 때 활동한 몇 안되는 한국인 건축가(1930년 김순하 건축가)가 설계한 건물이라는 점과 시대를 앞서가는 뛰어난 조형감각이 살아있는 건물이라는 점에서 한국근대건축의 귀한 작품.
광주광역시 지정문화유산
전남도청 회의실
광주 동구 문화전당로 38
5·18 최후의 항쟁지. 일제시대 때 활동한 몇 안되는 한국인 건축가(1930년 김순하 건축가)가 설계한 건물이라는 점과 시대를 앞서가는 뛰어난 조형감각이 살아있는 건물이라는 점에서 한국근대건축의 귀한 작품.
26
국가등록문화유산
전라남도청 구 본관
5·18 최후의 항쟁지로, 한국인 건축가 김순하 선생의 참여로 완성된 근·현대사의 역사적인 장소
국가등록문화유산
전라남도청 구 본관
광주 동구 문화전당로 38
5·18 최후의 항쟁지로, 한국인 건축가 김순하 선생의 참여로 완성된 근·현대사의 역사적인 장소
25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재명석등
전라남도 도청 앞뜰에 놓여 있는 전체 높이 1.94m에 달하는 고려시대 팔각석등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재명석등
광주 동구 문화전당로 38
전라남도 도청 앞뜰에 놓여 있는 전체 높이 1.94m에 달하는 고려시대 팔각석등
24
광주광역시 문화유산자료
광주읍성유허
조선시대의 광주읍성이 있었던 곳. 돌로 쌓은 성으로, 둘레 8,263척 높이 9척이며, 동·서·남·북에 성문이 있었다. 일본군의 ‘남한폭도대토벌작전’에 의해 철거되고, 그 자리에 도로가 개설되어 일본인 시가지가 형성되면서 훼손되었다.
광주광역시 문화유산자료
광주읍성유허
광주 동구 광산동 9-4
조선시대의 광주읍성이 있었던 곳. 돌로 쌓은 성으로, 둘레 8,263척 높이 9척이며, 동·서·남·북에 성문이 있었다. 일본군의 ‘남한폭도대토벌작전’에 의해 철거되고, 그 자리에 도로가 개설되어 일본인 시가지가 형성되면서 훼손되었다.
23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유산
악기장
무형문화재 이춘봉 악기장은 전통음악에 쓰이는 악기를 만드는 기능을 가진 장인으로, 1995년 지정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유산
악기장
광주 동구 제봉로 75
무형문화재 이춘봉 악기장은 전통음악에 쓰이는 악기를 만드는 기능을 가진 장인으로, 1995년 지정
22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유산
화류소목장
무형문화재 조기종 화류소목장은 모과나무(화류, 樺榴)를 재료로 통가구에 연귀짜임의 승법을 이용하여 목가구를 제작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1996년 지정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유산
화류소목장
광주 동구 소태길 129
무형문화재 조기종 화류소목장은 모과나무(화류, 樺榴)를 재료로 통가구에 연귀짜임의 승법을 이용하여 목가구를 제작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1996년 지정
21
국가등록문화유산
광주 서석초등학교 본관·체육관·별관
광주 최초 근대식 공립학교로, 근대 벽돌 건축의 조형미를 엿볼 수 있는 120여년 된 건물
국가등록문화유산
광주 서석초등학교 본관·체육관·별관
광주 동구 제봉로82번길 26
광주 최초 근대식 공립학교로, 근대 벽돌 건축의 조형미를 엿볼 수 있는 120여년 된 건물
20
보물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석조 공예양식의 변천을 살펴볼 수 있는 통일신라 후기의 석탑
보물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
광주 동구 지산동 448-4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석조 공예양식의 변천을 살펴볼 수 있는 통일신라 후기의 석탑
19
광주광역시 기념물
오지호가
서양화가 오지호 선생의 작업과 삶을 엿 볼 수 있는 공간(1954~1982년)
광주광역시 기념물
오지호가
광주 동구 지호로 81-20
서양화가 오지호 선생의 작업과 삶을 엿 볼 수 있는 공간(1954~1982년)
18
광주광역시 기념물
허백련춘설헌
한국화가의 대가 의재 허백련 선생이 해방 직후 30년간 살면서 작품 활동을 하던 곳(1946~1977년)
광주광역시 기념물
허백련춘설헌
광주 동구 증심사길 150-21
한국화가의 대가 의재 허백련 선생이 해방 직후 30년간 살면서 작품 활동을 하던 곳(1946~1977년)
17
광주광역시 기념물
광주학생독립운동발상지(전남여자고등학교)
일제 탄압과 착취에 대항한 민족운동인 광주학생독립운동을 주도하였던 학생들이 다니던 학교 교사부지의 일부를 기념물로 지정
광주광역시 기념물
광주학생독립운동발상지(전남여자고등학교)
광주 동구 제봉로158번길 8
일제 탄압과 착취에 대항한 민족운동인 광주학생독립운동을 주도하였던 학생들이 다니던 학교 교사부지의 일부를 기념물로 지정
16
광주광역시 기념물
학동느티나무
예로부터 당산목, 신목으로 여겨졌던 높이 약 20m, 둘레 5.8m, 수령 350여년 정도인 느티나무
광주광역시 기념물
학동느티나무
광주 동구 제봉로 42
예로부터 당산목, 신목으로 여겨졌던 높이 약 20m, 둘레 5.8m, 수령 350여년 정도인 느티나무
15
국가등록문화유산
전남대학교 의학대학 구 본관
1951년 건립 된 건축물로 한국전쟁 중에도 건축공정 진행과 모더니즘 디자인 등 역사적・건축학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간직하고 있으며 현재 의학박물관으로 활용
국가등록문화유산
전남대학교 의학대학 구 본관
광주 동구 백서로 160
1951년 건립 된 건축물로 한국전쟁 중에도 건축공정 진행과 모더니즘 디자인 등 역사적・건축학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간직하고 있으며 현재 의학박물관으로 활용
14
국가등록문화유산
광주 조선대학교 부속중학교 구 교사
전형적인 학교 건물의 형태로 오랜 역사성과 상징성을 지닌 조선대학교 최초의 교사 건물
국가등록문화유산
광주 조선대학교 부속중학교 구 교사
광주 동구 필문대로 309
전형적인 학교 건물의 형태로 오랜 역사성과 상징성을 지닌 조선대학교 최초의 교사 건물
13
국가등록문화유산
광주 조선대학교 의학대학 본관
중앙 현관 좌우대칭 공간구성, 수직성을 강조한 외관 등 대학 교육시설의 특성을 잘 보여주는 건물
국가등록문화유산
광주 조선대학교 의학대학 본관
광주 동구 필문대로 309
중앙 현관 좌우대칭 공간구성, 수직성을 강조한 외관 등 대학 교육시설의 특성을 잘 보여주는 건물
12
국가등록문화유산
광주 조선대학교 본관
1954년 건립 된 우리나라 최초 민립대학으로 19개의 박공지붕의 독특한 형태로 광주를 상징하는 건축물
국가등록문화유산
광주 조선대학교 본관
광주 동구 필문대로 309
1954년 건립 된 우리나라 최초 민립대학으로 19개의 박공지붕의 독특한 형태로 광주를 상징하는 건축물
11
보물
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성 및 복장유물
뛰어난 조형성을 보여주는 고려시대 불상
보물
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성 및 복장유물
광주 동구 지호로106번길 8-8
뛰어난 조형성을 보여주는 고려시대 불상
10
광주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운림동 석실고분
이 지방에서 보기 드문 백제식 돌방무덤의 출토로 고고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
광주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운림동 석실고분
광주 동구 운림동 산18
이 지방에서 보기 드문 백제식 돌방무덤의 출토로 고고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
9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
문빈정사 소장 전적
문빈정사 소장 11종 12책은 판본의 계통연구, 사찰의 출판활동, 불교의식의 변화 등 알 수 있는 임진왜란 전에 간인 된 귀중한 자료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
문빈정사 소장 전적
광주 동구 증심사길 81
문빈정사 소장 11종 12책은 판본의 계통연구, 사찰의 출판활동, 불교의식의 변화 등 알 수 있는 임진왜란 전에 간인 된 귀중한 자료
8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증심사 석조보살입상
높은 원통형 보관을 쓰고 있다는 점이 특징인 석불입상으로 세부표현이 간략해진 고려시대의 작품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증심사 석조보살입상
광주 동구 증심사길 177
높은 원통형 보관을 쓰고 있다는 점이 특징인 석불입상으로 세부표현이 간략해진 고려시대의 작품
7
보물
광주 증심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안정된 자세와 균형 잡힌 신체 비례, 자비로운 얼굴 묘사가 돋보이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보물
광주 증심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광주 동구 증심사길 177
안정된 자세와 균형 잡힌 신체 비례, 자비로운 얼굴 묘사가 돋보이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6
광주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증심사 일원
철감선사 도윤(798∼868)이 신라 헌안왕 4년(860)이 지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는 무등산 서쪽 기슭에 있는 사찰
광주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증심사 일원
광주 동구 증심사길 177
철감선사 도윤(798∼868)이 신라 헌안왕 4년(860)이 지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는 무등산 서쪽 기슭에 있는 사찰
5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증심사 삼층석탑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양식이 그대로 전수된 고려시대의 석탑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증심사 삼층석탑
광주 동구 증심사길 177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양식이 그대로 전수된 고려시대의 석탑
4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증심사 오백전
대웅전 뒤편에 세워진 법당으로 무등산에 남아 있는 절 건물 중 가장 오래된 건물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증심사 오백전
광주 동구 증심사길 177
대웅전 뒤편에 세워진 법당으로 무등산에 남아 있는 절 건물 중 가장 오래된 건물
3
광주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약사암 일원
한국전쟁으로 소실된 것을 1974년~1984년에 복원 한 증심사의 부속 암자로, 1306년 절을 고쳐 세우며 인왕사에서 약사암으로 변경
광주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약사암 일원
광주 동구 증심사길160번길 89
한국전쟁으로 소실된 것을 1974년~1984년에 복원 한 증심사의 부속 암자로, 1306년 절을 고쳐 세우며 인왕사에서 약사암으로 변경
2
보물
광주 약사암 석조여래좌상
유난히 넓은 무릎과 형식화 된 표현, 대좌와 불상 높이 비례가 1:1인 점 등 석굴암 본존불의 특징을 이어받은 신라말의 불상
보물
광주 약사암 석조여래좌상
광주 동구 증심사길160번길 89
유난히 넓은 무릎과 형식화 된 표현, 대좌와 불상 높이 비례가 1:1인 점 등 석굴암 본존불의 특징을 이어받은 신라말의 불상
1
천연기념물
무등산 주상절리대
중생대 백악기에 발생한 화산활동의 산물인 주상절리대는 입석대와 서석대로 구성, 오랜 세월 풍화에 의해 기둥모양 또는 병풍모양으로 수려한 경관이 특징
천연기념물
무등산 주상절리대
광주 동구 용연동산 354-1 일원
중생대 백악기에 발생한 화산활동의 산물인 주상절리대는 입석대와 서석대로 구성, 오랜 세월 풍화에 의해 기둥모양 또는 병풍모양으로 수려한 경관이 특징